반응형
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일반 소비자의 육안으로는 랩다이아와 천연다이아를 구분하기 거의 불가능합니다.
✔ 왜 구분이 어려울까?
- 물리적·화학적 구조가 동일
랩다이아(실험실 재배 다이아몬드)는 천연다이아와 완전히 동일한 탄소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. 경도, 굴절률, 투명도 등 거의 모든 특성이 같기 때문에, 형태나 반짝임으로는 차이를 느낄 수 없습니다. - 육안 식별은 전문가도 힘들다
다이아몬드 감정 전문가들도 현미경, 분광기, 형광 분석기 등 특수 장비 없이는 육안만으로 두 다이아를 구분하지 못합니다. 대부분 감정서나 각인을 확인해야만 어떤 다이아인지 알 수 있습니다.
✔ 구분 가능한 경우는?
다만, 아래의 경우에는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:
- 감정서 확인: GIA, IGI 등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급한 감정서에는 "LAB GROWN" 또는 "NATURAL"이 명시되어 있습니다.
- 다이아 각인: 루페(확대경)로 다이아몬드의 거들면(girdle) 부분을 보면 레이저 각인이 새겨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형광 반응 차이: 일부 랩다이아는 UV 빛 아래서 형광 반응이 천연다이아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, 이것도 모든 다이아에 해당되지는 않습니다.
✔ 요약
항목 | 랩다이아 | 천연다이아 |
---|---|---|
외관 | 동일 | 동일 |
구조 | 동일 | 동일 |
감정서 | LAB GROWN 명시 | NATURAL 명시 |
구분 가능 여부 | 육안 구분 불가능 | 육안 구분 불가능 |
정리하자면, 보통 사람이 두 다이아를 손에 들고 비교하더라도 외관이나 광채로는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. 결국 감정서와 인증 정보가 유일한 구분 수단입니다.
반응형